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미국과 대만이 시가전 중심의 ‘대만 방어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무인 항공기나 선박을 활용해 중국의 보급선을 끊고 시가전으로 버틴다면 중국을 막아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미 해군연구소(USNI) 군사전문 학술지 ‘프로시딩’ 최신호에서 영국 싱크탱크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시다르스 카우셜·게리 서머빌 연구원은 “미국과 대만은 시가전에서 중국을 물리치는 것을 중심으로 방어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중국의 대만 침공 상황에 대한 위한 기존 시나리오에 대해 “연안 전투의 핵심 요소인 시가전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군이 대만해협을 가로질러 충분한 병력을 수송하고 해변을 신속하게 돌파하기만 하면 짧은 시일 내에 승전할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하고 간다는 것이다.
이 가정에 따르면 미국이 중국군에 앞서 대만에 대규모 병력을 도달시키거나 상륙 부대를 격퇴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안게 된다.
연구진은 “연안 전투의 핵심 요소인 시가전을 간과한 것”이라며 2018년 예멘 분쟁의 양상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멘 분쟁 초반 수니파 예멘 정부를 지지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주도 연합군이 우세한 병력으로 유리해 보였지만, 시아파 후티 반군이 주요 항구도시에서 버티며 장기전으로 끌고 갔다.
미 해군연구소(USNI) 군사전문 학술지 ‘프로시딩’ 최신호에서 영국 싱크탱크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시다르스 카우셜·게리 서머빌 연구원은 “미국과 대만은 시가전에서 중국을 물리치는 것을 중심으로 방어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중국의 대만 침공 상황에 대한 위한 기존 시나리오에 대해 “연안 전투의 핵심 요소인 시가전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군이 대만해협을 가로질러 충분한 병력을 수송하고 해변을 신속하게 돌파하기만 하면 짧은 시일 내에 승전할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하고 간다는 것이다.
이 가정에 따르면 미국이 중국군에 앞서 대만에 대규모 병력을 도달시키거나 상륙 부대를 격퇴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안게 된다.
연구진은 “연안 전투의 핵심 요소인 시가전을 간과한 것”이라며 2018년 예멘 분쟁의 양상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멘 분쟁 초반 수니파 예멘 정부를 지지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주도 연합군이 우세한 병력으로 유리해 보였지만, 시아파 후티 반군이 주요 항구도시에서 버티며 장기전으로 끌고 갔다.